티스토리 뷰
목차
자동차는 주기적으로 종합검사 혹은 정기검사를 받아야 합니다. 그러기 위해서는 가까운 검사소를 찾아야 하는데, 이게 좀 번거롭고 귀찮습니다. 그래서 지금부터 가까운 자동차검사소를 찾는 방법을 알려드리도록 할테니, 잠깐만 집중해서 글 내용 확인해주시 바랍니다.
자동차검사소 찾기
자동차검사(종합 혹은 정기)는 한국교통안전공단 검사소 혹은 공단지정정비사업자(사설검사소)에서 검사를 받을 수 있습니다.
1. 한국교통안전공단 검사소
한국교통안전공단 검사소의 수는 적은 편입니다. 그래서인지 검사차량도 많으며, 그로 인해 검사시간도 꽤 걸리는 편입니다. 대기차량도 많습니다. 하지만, 거주지 근처에 공단검사소가 있다면 인터넷으로 예약해서 검사를 받는 것도 나쁘지 않습니다.
👇아래 버튼을 통해 가까운 한국교통안전공단 검사소의 위치를 찾아볼 수 있습니다.
2. 공단지정정비사업자(사설검사소)
사설검사소는 별도로 예약하는 것이 불가능합니다. 그냥 가까운 검사소에 편한 시간에 방문해서 바로 검사를 받을 수 있습니다. 거주지 근처에 공단 검사소가 없다면 사설검사소를 찾아서 검사를 받는 것도 나쁘지 않습니다.
👇아래 버튼을 통해 가까운 사설검사소의 위치를 찾아볼 수 있습니다.
자동차검사 검사비용
1. 한국교통안전공단 검사소
①정기검사
ㅇ경차 : 17,000원 / 소형 : 23,000원 / 중형 : 26,500원 / 대형 : 29,000원
②종합검사
ㅇ경차 : 48,000원 / 소형 : 54,000원 / 중형 : 56,000원 / 대형 : 65,000원
2. 공단지정정비사업자(사설검사소)
①정기검사
ㅇ경차 : 23,000원 / 소형 : 25,000원 / 중형 : 35,000원
②종합검사
ㅇ경차 : 50,000원 / 소형 : 55,000원 / 중형 : 5,500kg이하 : 60,000원 / 중형 : 5,500kg이상 : 80,000원
사설검사소 장단점
ㅇ공단검사소와는 달리 검사소가 다수 존재합니다. 그로 인해 접근성이 용이하고 시간과 수고가 절감됩니다.
ㅇ온라인 예약이 안되고, 직접 방문해서 검사를 받아야 합니다.
ㅇ검사비용은 공단검사소에 비해 비쌉니다. 그리고 사설검사소들 마다 검사비용도 조금씩 다르니 사전에 여러 곳을 확인해보는 것이 좋겠습니다.
ㅇ공단검사소와 동일하게, 검사결과에 이상이 있는 경우는 점검을 받고 재검사를 받아야 합니다. 단, 브레이크등이나 전조등과 같은 부분의 불량은 현장에서 실비로 교체한 이후, 바로 검사를 통과할 수 있습니다.